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fatch
- 파이널프로젝트
- 트리셋
- 산업은행it
- 컴퓨터구조
- 폰켓몬
- findById
- 외래키제약조건위반
- 프로그래머스
- Spring JPA
- BFS
- 그래프탐색
- JPA
- DB replication
- 트리맵
- 구현
- 2178
- 임베디드타입
- 코테
- 운영체제
- CPU스케줄링
- 프로젝트
- CS
- 스케일아웃
- 백준
- 산업은행청년인턴
- SpringBatch
- 가상 면접 사례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기초
- 해시
- flyway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68)
나 JAVA 봐라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42747 프로그래머스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programmers.co.kr 문제를 읽어보면, h의 최댓값을 찾는 문제이다. 또한 h가 되려면 아래 두가지 조건을 모두 만족해야한다. 1. h 2. h >= h번 이하 인용된 논문의 수 h값을 탐색할 때, 가장 큰 인용횟수를 기준으로 시작할 수 있다. (-> 그 이상의 수는 애초에 조건을 만족할 수 없기 때문에)따라서 배열을 정렬한 후, 가장 큰 수부터 반복하여 탐색한다. 이 때, 큰 수부터 반복하다가 조건 2가지를 모두 ..

[로컬 K8s에 Kubeflow 설치하기] Kubeflow는 K8s 위에서 동작하는 ML 플랫폼이기 때문에, Kubeflow를 사용하려면 먼저 K8s를 설치해야 한다. K8s 설치K8s를 설치하는 방법도 여러 가지가 있는데, 보통 초보자는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는 Docker Desktop, Minikube를 주로 사용한다. 방법1. Docker Desktop으로 K8s 실행하는 방법: Docker Desktop 프로그램을 설치한 후, 설정 화면에서 단순히 Kubernetes를 활성화 시켜주면 쿠버네티스가 실행된다. (= 명령어 입력 없이 버튼 딸깍. 끝.) OS (Windows, Mac OS)에 맞춰 Docker Desktop을 설치한다. https://docs.docker.com/desktop..
https://www.acmicpc.net/problem/1202 최근 본 기업 코테에서 상당히 유사한 문제가 출제 되었다. 결국... 맞추진 못했지만... 다시 복기 하기 위해 풀어보았다. 기업 코테와 다른 점은.. 기억하기론 기업 코테에서는 가방에 물건을 여러개 넣어도 됐었다. (->이건 어떻게 풀어야했을까..?) 해당 문제에서는 하나만 가방에 넣을 수 있다. 따라서 최대 무게가 작은 가방부터 순서대로 탐색을 시작하여, 가방에 최대 가치가 있는 보석을 넣는 방식으로 구현하여 풀 수 있다. 이를 위해, 1. 보석도 무게 순으로 오름차순 정렬을 한다. 2. 가방 최대 무게를 받아서, 오름차순으로 정렬을 한다. 3. 가방 정렬한 순서대로, 최대 무게 내에 가장 가치 높은 물건을 담는다. (우선순위 큐 사..
https://softeer.ai/practice/6293 Softeer - 현대자동차그룹 SW인재확보플랫폼 softeer.ai 왠지 문제가 너무 쉽다 했는데, 문제를 잘못 이해했다. 첫번째 다리를 무조건 지나야하는 줄 알았는데, 어느 곳을 밟더라도 상관 없는 문제였음. 이런 것이 바로 DP 문제 ! 문제에 접근할 때, 각자의 돌을 밟았을 경우 최대 몇개를 밟을 수 있는지 순서대로 계산해준다.다 계산이 되었다면, 그 중 최댓값을 출력해주면 된다. 처음에 잘못 이해하고 푼 코드import java.io.*;import java.util.*;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
기존의 ai 플랫폼의 문제점1. 리소스 관리가 비효율적이다. -> 한 연구팀이 GPU 리소스를 독점하고 있어, 다른 팀들이 실험을 진행하지 못한다. 2. 확장성에 제한이 있다. -> 대규모 모델 학습을 위해 수백 개의 GPU를 빠르게 확보하고 구성하는 것이 어렵다. 3. 비용 관리가 어렵다. -> 유휴 노드(ex. GPU)를 자동으로 해제하지 못해 불필요한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 4.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운영이 복잡하다. -> 클라우드와 온프레미스 환경을 동시에 사용할 때, 각 환경을 별도로 관리해야해서 운영 복잡도가 증가한다. 5. 워크플로우 관리가 어렵다. -> 데이터 전처리, 모델 훈련, 평가, 배포 등의 단계를 일관되게 관리하고 자동화하기 어렵다.6. 버전 관리..

아 한 시간 동안 내용 정리한 거 다 날아감 진짜 짜증난다; ㅠ Scalability & High Availability 스케일링 (Scalability)애플리케이션이나 시스템이 부하 증가에 따라 자원을 늘려 처리량을 견딜 수 있는 능력스케일링 종류:수직 스케일링 (Vertical Scaling)기존 인스턴스의 사양을 늘려 성능 향상 (예: t2.micro -> t2.large)하드웨어 제약으로 인해 한계가 있다. ex) DB 서버 (RDS, ElastiCache) 수평 스케일링 (Horizontal Scaling)인스턴스/시스템의 대수를 늘려 부하 분산 (클라우드 환경에서 흔히 사용 -> EC2 등의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 시 쉽게 구현 가능)ex) 분산 시스템 (웹 애플리케이션)스케일링과 고가용성은 관..

이전 6장에서 인스턴스를 stop/terminate 상태가 아닌, hibernate 상태로 하면 이 후 다시 인스턴스를 시작했을 때 부팅 속도를 빠르게 하기위해 RAM 상태를 루트 EBS 볼륨에 저장한다고 했다. 7장에서는 EBS를 포함하여, 데이터를 저장하는 Instance Storage에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자. EBS VolumeEBS (Elastic Block Store) 볼륨은 인스턴스 실행하는 동안 연결할 수 있는 네트워크 드라이브이다.네트워크 드라이브: LAN, WAN을 통해 여러 컴퓨터에서 공유할 수 있는 저장 공간. USB를 컴퓨터가 연결하는 것과 비슷하게 네트워크 드라이브를 네트워크에 연결하면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접근, 작업할 수 있다. (ex, NAS, google drive)네트..

하 이전 5장 분량 진짜 겁나 김 ; 화 난 다. Private vs Public IP (IPv4)먼저 IP는 IPv4, IPv6이 있는데, 강의에서는 IPv4만 다룬다.IPv6은 주로 IoT에서 잘 쓰인다. IPv4는 약 37억개 주소를 갖는다. 위의 그림에서는 공용 IP, 사설 IP가 나온다.그림에서 알 수 있는 것은, 1. 공용 IP는 인터넷 전역에 액세스 가능하다.2. 사설 IP는 사설 네트워크 안에서만 액세스 가능하다. -> 인터넷 쓰려면 Internet Gateway 같은 것 필요함. Public IP인터넷 (WWW)에 접근 가능: 공용 IP는 인터넷에서 식별될 수 있다.고유성 : 전 세계적으로 모든기기의 공용 IP는 고유 해야함. 두 개의 기기가 동일한 공용 IP 가질 수 없음. 위치 추..

주변 사람들이 나만 빼고 쿠버네티스 얘기해서 소외감이 들었다. (놀 때는 기술 얘기 그만해...)나만 빼고 CKA를 따? 나만 빼고 홈서버를 사? (사실 관심 없었음)나만 빼고 해지뭴라고 ! 때마침 인턴 업무도 쿠버네티스 관련 업무여서(ㅠㅠ), 쿠버네티스 공부를 시작하게 되었다. 가보자고 (계속 공부해가면서 해당 포스팅은 계속 업데이트 될 예정입니다.)쿠버네티스의 등장전통적인 배포 시대 (Traditional Deployment)한 물리 서버에 애플리케이션을 배포(문제 상황) 한 물리 서버에서 여러 애플리케이션의 리소스 한계를 정의할 수 없는 리소스 할당 문제 -> (해결책) 서로 다른 물리 서버에서 각 애플리케이션을 실행 -> (또 다른 문제) 리소스를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고, 여러 물리 서버를 유..

Budgets강의 들어가면서 예산(budgets)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나와서 간단히 정리해본다. AWS 서비스 이것저것 모르고 사용하다보면 과금 이슈가 많이 생겨서 조심해야하는데, 예산 설정 해두면 방지할 수 있다. 예산을 설정해두면 해당 예산이 거의 소진되었을 때 알람이 온다. 기본적으로는 루트 계정에서 설정 가능하고, 루트에서 권한 주면 사용자(관리자)도 예산 확인 가능하다. Amazon EC2란Elastic Conpute Cloud, InfraStructure as a ServiceAWS의 많은 서비스를 포함하고 있는데, virture machine을 빌려주고 (EC2)가상 드라이브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EBS)여러 머신에 부하를 분산하고 (ELB)서비스를 자동으로 스케일링한다. (AS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