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CPU스케줄링
- BFS
- SpringBatch
- 운영체제
- 프로그래머스
- 산업은행it
- 백준
- flyway
- 산업은행청년인턴
- 파이널프로젝트
- 트리맵
- 컴퓨터구조
- 해시
- 2178
- Spring JPA
- 구현
- fatch
- 스케일아웃
- JPA
- CS
- 가상 면접 사례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기초
- 그래프탐색
- 프로젝트
- findById
- 트리셋
- 코테
- 임베디드타입
- 외래키제약조건위반
- 폰켓몬
- DB replication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가상 면접 사례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기초 (1)
나 JAVA 봐라
[가상 면접 사례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기초] 1장 사용자 수에 따른 규모 확장성
1장 사용자 수에 따른 규모 확장성 하나의 서버 내에 웹 앱, DB, 캐시 등이 다 있을 수 있지만, 사용자 수가 많아짐(요구 사항)에 따라 각각의 서버(웹, DB, 캐시,... 등)로 분리할 수 있다. 웹 계층스케일 업(수직적 규모 확장) vs 스케일 아웃(수평적 규모 확장)스케일 업의 한계한 대의 서버에 CPU, 메모리를 무한대로 증설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 (스케일 업 : 서버에 고사양의 CPU, RAM을 추가하는 행위)장애에 대한 자동복구(failover), 다중화 방안 없기에 장애 발생 시 서비스가 중단된다. (-> 즉, 한 대의 서버이기에 발생하는 문제)-> 이런 단점으로 인해, 대규모 애플리케이션 지원하는데에는 스케일 아웃 많이 씀. 로드 밸런서사용자 많을 때 부하 분산함.사용자는 로드밸런서..
DevOps, MLOps/독서
2024. 5. 31. 00:45